언론보도

[언론보도] ‘고발 언어’ 영상, 그 파장은 어디까지?… 비디오 아트로 현실과 역사 조명하는 두 작가 주목

  • 김근태재단2015.11.29

임흥순 작가의 신작 영상 작품 ‘북한산’. 가수로 활동하는 탈북 여성 김복주씨가 한복 차림으로 산을 오르고 있다. 임흥순 제공


고발 언어로서의 영상의 힘은 어디까지일까. 상업주의 예술이 판치는 세상에서 영상 언어를 무기 삼아 현실과 역사에 대해 아주 강하게 발언하는 두 작가의 영상 미술이 힘차다.

하나는 탈북 여성의 인터뷰 영상으로 분단과 통일 문제를 돌아보게 한다. 다른 하나는 이대근·원미경 주연의 동명 영화 때문에 에로물의 전형으로 왜곡 돼온 판소리 ‘변강쇠’의 원래 얼굴을 찾아내고 그 날것의 언어를 식민, 징용, 민간인 학살, 전쟁포로, 위안부 등 인간의 야만이 빚어낸 역사 속에 몽타주기법으로 표현한다. 상업 갤러리를 벗어나 각각 대안공간과 공공건물에서 관람객을 손짓한다.

탈북 여성은 임흥순(46) 작가가 올해 베니스비엔날레 은사자상 수상 이후 대중 앞에 선보인 신작의 소재다. 군부독재 시절 폭압적 고문에 저항했던 고(故) 김근태 전 의원 4주기 추모전 ‘포스트 트라우마’전에 그룹전 형태로 참여했다. 은사자상 수상작 ‘위로공단’에서 무수한 노동자를 인터뷰했던 그다. 서울시청 내 시민청 갤러리에 전시한 26분짜리 영상 ‘북한산’도 같은 방식이다. 주인공은 8년 전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해 현재 가수로 활동하는 김복주(37)씨.

“아빠가 주방에 들어서면 엄마는 ‘무슨 남자가 주방에 들어서고 그래요! 볼꼴 사납게!’라고 해요. 그러면 아빠는 ‘종숙동무, 외국에서는 요리사 유명한 요리사들은 모두 다 남자들이라우’하시면서….”

행복했던 유년 기억, 남한에서 사기 당한 얘기, 임진강 철책에 매달려 가족 이름을 목 놓아 불렀던 일화 등을 툭툭 뱉어낸다. 노랑 저고리, 분홍치마를 입고 산을 타는 그녀를 뒷모습으로만 담은 영상은 시종 흔들린다. 김복주의 개인사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분단체제가 평화체제로 바뀌어야 한다는 전시 주제에 자연스럽게 공감하게 한다. (후략)


기사 전문 보기 ->

목록